CFP자격증은 금융권 취업시 필수입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되고 상품 판매자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재무설계 전문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으로 판매자의 정직한 윤리적 의무가 한층 강화될 전망인데 이런 분위기에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한다’라는 엄격한 윤리규정을 업무수행기준으로 정한 재무설계 전문가 자격증인 CFP 자격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종합적인 재무설계 자격증으로 평가되고 있어 금융권에 재직중인 분들께서도 많이 취득하고 있는 CFP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
CFP 자격증이란?
CFP는 재무설계 분야의 통합적인 이해력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CFP란 Certified Financial Planner의 약자로 국제적인 지명도를 가진 재무 설계사 자격시험입니다.
CFP인증 프로그램의 기준과 요건은 국제FPSB가 제공하는 국제기준을 따르고 있으며 이 기준은 전세계 25개 회원국에서 따르고 있습니다.
CFP인증요건은 4E (교육(Education), 시험(Examination), 실무경험(Experience) ,윤리서약(Ethics) 입니다.
교육은 CFP를 위해 이수해야 할 교육과정을 의미하며, 시험은 합격을 해야 하며, 경험은 실무 경험을 뜻합니다. 윤리는 FPSB의 자격인증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아야 하며,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업무 수행기준과 윤리 규정 및 각종 사항을 준수하겠다는 서약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엄격한 CFP 인증 프로그램의 요건을 충족한 CFP인증자16만명은 전세계 26개국에서 자산관리, 위험관리, 세금설계, 은퇴설계 , 상속설계 등 고객과 관련된 모든 재무설계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 하여 최적의 재무설계안을 제시해 고객의 재무 및 생애 목표를 달성 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재무설계분야의 Gold Standard인 CFP업무수행기준과 윤리규정을 준수하고 고객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며 고객이 신뢰하는 최고의 재무설계사가 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과 열정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CFP 자격증 전망
금융권에서는 금융자격소지자를 점점 우대하고 있어
CFP 자격증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채용 과정에서 재무설계사를 비롯해 금융 관련 전문자격증을 보유한 대상이 취업에 유리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금융권이 업무 적응이 유리한 ‘금융자격소지자’ 선발을 희망하고 있어서입니다.
현재 은행권을 비롯한 모든 금융권에서 CFP 자격증이 있을 경우 채용 시 우대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재무 설계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은 CFP 자격증을 취득하였을 경우 일반 금융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을 때보다 훨씬 도움이 됩니다.
CFP 시험은 고난이도로 한국에서 재무설계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CFP 자격증을 가지고 있을 경우 이 전문가에 대한 만족도나 신뢰도가 더 높습니다.
CFP 자격증 소지시 취업분야
신입 채용시 금융자격증은 더욱 도움이 됩니다.
금융업계에서 신입 채용시 금융전문자격증 소지자 우대 비율은 은행(92%)이 가장 높았으며, 보험(89%), 증권(70%) 순입니다.
은행의 경우, 국내 6개 시중은행과 4개 지역은행의 모든 채용공고에서 ‘금융자격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습니다. 채용시 우대자격으로 CFP자격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곳은 하나은행과 기업은행(필기 5% 가산)외에도 신한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수협은행이 있습니다.
보험사는 총 18개사 중에서 16개사가 금융자격을 우대하고 있습니다.
채용공고에 CFP자격 우대를 표기 한 보험사는 KB생명, 신한생명, DB생명보험, 농협생명보험입니다. 삼성생명은 채용공고에 자격자 우대 표시는 없었으나, CFP/AFPK 지정교육기관에 등록되어 있으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역량강화를 위한 자격취득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권사는 총 10개사 중에서 7개사에서 금융자격을 우대하고 있습니다.
CFP자격 우대를 명시한 증권사는 KB증권과 한화투자증권이고, 한국투자증권은 입사지원서에 자격증 기재란이 있어 사실상 채용 시 자격증을 평가에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기업의 공채 시 CFP 및 AFPK 자격의 우대현황 조사 결과, 국민연금공단은 ‘실무경력 3년 요건이 충족’된 CFP자격자를 우대하고, AFPK자격자도 우대합니다.
대한토지신탁도 신규직원 채용시 CFP와 AFPK자격 우대사항을 명시했으며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주택연금상담과 같은 특정직 채용시 CFP와 AFPK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전문자격을 우대하는 기업 알아보기 / 한국FPSB홈페이지(WWW.FPSBKOREA.ORG) |
♦ 관련자격증 |
CFP 자격증 시험일정
CFP 자격시험은 1년에 2회 시행됩니다.
아래 일정을 참고하시고 시험에 응시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도 제1차 (39회) CFP 자격시험
시행일 | 2021년 5월 15일 (토) 오후 03:00 ~ 2021년 5월 16일 (일) 오후 03:00 |
원서접수 | 4월 19일 (월) 오전 09:00 부터 5월 3일 (월) 오후 08:00 까지 |
원서접수 변경 | 5월 7일 (금) 오후 06:00 까지 (100% 환불) |
수험표 출력 | 5월 10일 (월) 오전 09:00 부터 |
원서접수 취소 | 5월 12일 (수) 오후 06:00 까지 (50% 환불) |
결과 발표 | 6월 4일 (금) 오전 09:00 |
2021년도 제2차 (40회) CFP 자격시험
시행일 | 2021년 10월 30일 (토) 오후 03:00 ~ 2021년 10월 31일 (일) 오후 03:00 |
원서접수 | 10월 4일 (월) 오전 09:00 부터 10월 18일 (월) 오후 08:00 까지 |
원서접수 변경 | 10월 22일 (금) 오후 06:00 까지 (100% 환불) |
수험표 출력 | 10월 25일 (월) 오전 09:00 부터 |
원서접수 취소 | 10월 27일 (수) 오후 06:00 까지 (50% 환불) |
결과 발표 | 11월 19일 (금) 오전 09:00 |
CFP 자격증 준비방법
CFP시험에 응시하려면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CFP시험 응시자는 다음의 조건 두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지정교육기관에서 CFP교육과정 이수자
CFP 시험 역시 시험에 FPSB와 마찬가지로 응시하기 위해서는 지정한 교육기관을 통해 정해진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집합,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 2가지 형태로 제공이 되며, 집합교육은 최소 200시간, 원격은 220시간 이상을 모두 이수해야 합니다.
필수교육은 한국 FPSB 일정에 따라 응시원서접수 시작 전날까지 수료하여야 인정이 되어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 AFPK 지정 교육기관 |
필수교육 해당자중 다음의 경우는 교육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자격증 | 교육면제과목 |
공인회계사 등록자 | 면제 |
Chartered Financial Analyst (CFA) 자격자 | 면제 |
변호사 등록자 | 면제 |
세무사 자격자 (주1) | 면제 |
경영학 박사 | 면제 |
경제학 박사 | 면제 |
재무설계학 박사 | 면제 |
해당 자격이 있는 경우 자격증(합격증), 학위증을 한국FPSB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주1) 2011년 11월 CFP 자격시험부터 ①세무사 등록자 또는 ②세무사자격증 + 6개월 해당 업무 실무충족자로 변경 적용됩니다.
위의 전문자격이나 학위는 해당 기관의 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AFPK 인증유무와 관계없이 CFP 교육과정을 이수하지 않고, CFP 인증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단, 교육만 면제되는 것이지 시험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므로 유의하셔야합니다.
2. 유효한 AFPK인증자
AFPK합격자는 AFPK인증 후, AFPK정지자는 AFPK회복 후, AFPK합격 및 인증실효자는 AFPK시험에 재응시하여 합격하면 AFPK 인증 후 가능합니다.
♦ 한국FPSB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
한눈에 보는 자격증 시험정보
♦ 수수료 | 242,000원 / 라이센스 비용: 200,000원 |
♦ 시행기관 | 한국 FPSB |
♦ 접수방법 | 한국 FPSB 홈페이지 |
♦ 응시자격 | 1.지정교육기관에서 CFP교육과정 이수자 / 2. 유효한 AFPK인증자 |
♦ 시험과목 | – 지식형 : 재무설계 개론 ,재무설계 직업윤리, 은퇴설계 , 부동산설계, 상속설계 – 사례형 : 위험관리와 보험설계, 투자설계, 세금설계 |
♦ 합격기준 | 전체합격기준 평균 70% 이상 + 지식형 각 과목 및 사례형에서 40% 미만의 과락없는 경우부분합격기준 전체 평균이 70% 이하이면서 아래 기준을 통과한 경우 -지식형 합격자 : 지식형 평균 70% 이상 + 과목별 40% 이상 -사례형 합격자 : 사례형 평균이 70%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