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공기업이나 대기업
취준생들의 필수 자격증입니다.
일본과 우리나라 사이에 독도문제가 발생하고 주변 국가들이 교과서를 왜곡을 하는 등 여러 문제가 대두되면서 역사에 관해 좀더 높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사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정부에서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일환의 하나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각종 공무원 시험, 임용고시 등 활용 및 특전이 많아서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도 많이 시험에 응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급수 종류와 일정, 기출문제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우리 역사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확산하고, 역사 학습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자는 취지로 2006년 처음 실시됐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한국사 전반에 걸쳐 역사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항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사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자발적 역사학습을 통해 고차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고자 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정은 급수에 따라서 응시해야 하는 과목이 달라지기 때문에 내가 보려는 급수를 정확히 확인하시고 시험공부를 시작하는것이 좋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특징과 활용영역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응시자의 연령이 매우 다양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역사적 소양을 측정하고, 역사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한국사 학습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시험으로 응시자의 연령이 매우 다양합니다.
입시생이나,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이직을 위해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이 응시하고 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선발 시험의 성격이 아니라, 한국사의 학습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으로 내가 받는 점수에 따라 급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한국사 시험은 5급 공무원, 교사, 군무원 공채 시험에 반영됩니다. 여기에 올해부터 국가직·지방직 7급 공무원 채용시험에서도 필수과목으로 지정돼 응시자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정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1년에 4회시험이었으나
응시자가 늘어나면서 6회로 바뀌었습니다.
2021년은 51회부터 56회까지 총 6회에 걸쳐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치뤄집니다.
2021년 제53회(6.5 토), 제56회(10.23 토) 시험은 심화만 시행하니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 추가 접수는 접수 잔여석에 한함
▶ 합격자발표 방법 : 응시자가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성적 조회 및 인증서 출력(정부24 가능)
※ 별도의 인증서를 발급하지 않음
구분 | 원서접수 | 추가접수 |
제51회 |
2021년 1월 11일(월) 13:00 ~ 2021년 1월 15일(금) 18:00 |
2021년 1월 22일(금) 13:00 ~ 2021년 1월 25일(월) 18:00 |
시험일시 | 최종합격발표 | |
2021년 2월 6일(토) | 2021년 2월 19일(금) |
구분 | 원서접수 | 추가접수 |
제52회 |
2021년 3월 15일(월) 13:00 ~ 2021년 3월 19일(금) 18:00 |
2021년 3월 26일(금) 13:00 ~ 2021년 3월 29일(월) |
시험일시 | 최종합격발표 | |
2021년 4월 11일(토) | 2021년 4월 23일(금) |
구분 | 원서접수 | 추가접수 |
제53회 |
2021년 5월 10일(월) 13:00 ~ 2021년 5월 14일(금) 18:00 |
2021년 5월 21일(금) 13:00 ~ 2021년 5월 24일(월) |
시험일시 | 최종합격발표 | |
2021년 6월 5일(토) 심화만 시행 | 2021년 6월 18일(금) |
구분 | 원서접수 | 추가접수 |
제54회 |
2021년 7월 12일(월) 13:00 ~ 2021년 7월 16일(금) 18:00 |
2021년 7월 23일(금) 13:00 ~ 2021년 7월 26일(월) |
시험일시 | 최종합격발표 | |
2021년 8월 7일(토) | 2021년 8월 20일(금) |
구분 | 원서접수 | 추가접수 |
제55회 |
2021년 8월 16일(월) 13:00 ~ 2021년 8월 20일(금) 18:00 |
2021년 8월 27일(금) 13:00 ~ 2021년 8월 30일(월) |
시험일시 | 최종합격발표 | |
2021년 9월 11일(토) | 2021년 9월 24일(금) |
구분 | 원서접수 | 추가접수 |
제56회 |
2021년 9월 27일(월) 13:00 ~ 2021년 10월 1일(금) 18:00 |
2021년 10월 8일(금) 13:00 ~ 2021년 10월 11일(월) |
시험일시 | 최종합격발표 | |
2021년 10월 23일(토)심화만 시행 | 2021년 11월 5일(금)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급 및 유효기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심화와 기본으로 나뉩니다.
시험종류 | 심화 | 기본 |
인증등급 | 1급(80점 이상) | 4급(80점 이상) |
2급(70~79점) | 5급(70~79점) | |
3급(60~69점) | 6급(60~69점) | |
문항수 | 50문항(5지 택1형) | 50문항(4지 택1형) |
*인증서 유효 기간은 인증서를 요구하는 각 기관에서 별도로 정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준비방법
한국사검정능력시험은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해야 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기본 목적이 역사에 대한 관심 고양 및 기본 소양 강화에 있기 때문에 공무원 한국사 과목처럼 지엽적인 문제가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대체로 자주 출제되는 주제가 반복 출제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기출문제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소한 주제나 인물, 사료를 제시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응시자 대다수는 초급보다 고급과 중급 시험에 응시하고 있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94%). 초급 시험에 응시하는 사람은 보통 중,고등학생으로 6% 정도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응시인원은 2011년 13만2000명에서 2016년 41만7000명, 2017년 43만명, 2018년 47만3000명, 2019년 51만500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 기출문제 |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출제유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출제유형은 6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역사 지식의 이해
역사 탐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역사적 사실·개념·원리 등의 이해 정도를 측정합니다.
2. 연대기의 파악
역사의 연속성과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영역입니다. 역사 사건이나 상황을 시대 순으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3.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제시된 자료에서 해결해야 할 구체적 역사 상황과 핵심적인 논쟁점, 주장 등을 찾을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문헌자료, 도표, 사진 등의 형태로 주어진 자료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포착하거나 변별해내는 능력이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4.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자료에 나타난 정보를 해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정보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료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5. 역사 탐구의 설계 및 수행
제시된 문제의 성격과 목적을 고려하여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역사 탐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6. 결론의 도출 및 평가
주어진 자료의 타당성을 판별하고, 여러 자료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심화 단계가 시대 상황과 쟁점을 파악하는 문제나 지문이나 사료를 바탕으로 순서를 묻는 문제 또한 많이 출제됩니다.
한눈에 보는 한국사능력검정 시험정보
- 수수료 : 심화(22,000원) 기본(18,000원)
- 시행기관 : 국사편찬위원회
- 접수방법 :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온라인접수
- 응시자격 : 제한없음
- 검정방법 : 50문항. (심화:오지선다형, 기본 : 사지선다형)100점만점(문항별 1점~3점 차등배점)